게시판
안녕하세요.
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오늘은 가족 간 호칭에 관한 바른 우리말 사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
우리말에는 가족 간 호칭이 많습니다.
바로 촌수 때문인데요, 촌수에 따라 각각의 호칭이 있기에 많은 호칭이 있다고 합니다.
촌수를 위해 먼저 알아야 할 단어입니다.
▶ 직계존속 : 조상으로부터 자기까지의 혈족
▶ 직계비속 : 자기로부터 이어 내려진 혈족
▶ 방계혈족 :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진 혈족
직계는 수직적 관계, 방계는 수평적 관계입니다.
자~ 이제 촌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직계는 한 대에 1촌씩, 방계는 한 대에 2촌씩 더하면 됩니다.
아버지와 나는 1촌, 나와 형제는 2촌, 아버지의 형제와 나는 3촌입니다.
4촌은 부모의 형제의 직계비속인데요, 고모의 자녀는 고종사촌, 이모의 자녀는 이종사촌 어머니 형제의 자녀는 외사촌입니다.
그럼 이제 가족의 호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괄호 안은 명칭입니다.
● 동기 호칭
● 아내 가족 호칭
● 남편 가족 호칭
가족 호칭 중에서 부부의 가족과 사촌을 정리해봤습니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로 당숙이라고 하는 오촌, 조부모가 달라지는 육촌, 대한민국 헌법상 친척으로 인정되는 팔촌까지 알아보면 호칭이 더 많아지겠죠?
가족 간 호칭이 궁금할 때마다 한글날 국제학술대회 홈페이지 게시판을 방문해주세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공지 | [공지] 한글날 국제학술대회 사전등록 이벤트 당첨자 발표 안내 | 관리자 | 2021.10.12 | 147 |
공지 | 자주 하는 질문 FAQ | 관리자 | 2021.10.09 | 187 |
7 | 날씨를 표현하는 순우리말들 | 관리자 | 2022.07.29 | 20 |
6 | 틀리기 쉬운 사자성어(四字成語) | 관리자 | 2022.06.30 | 18 |
현재글 | 가족 간 호칭에 관한 바른 우리말 사용법 | 관리자 | 2022.05.31 | 50 |
4 | [언론 보도] ‘한글도시’ 여주시, 575돌 한글날 맞아 국제학술대회 개최 (2021. 10. 12.) | 관리자 | 2021.10.15 | 139 |
3 | [공지] 한글날 국제학술대회 사전등록 이벤트 당첨자 발표 안내 | 관리자 | 2021.10.12 | 147 |
2 | [공지] 사전등록 이벤트 발표 안내 | 관리자 | 2021.10.09 | 149 |
1 | 자주 하는 질문 FAQ | 관리자 | 2021.10.09 | 1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