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위대한 유산 한글에서 사람중심 행복의 길을 묻다
기조 강연
- 기조강연 1
세종의 한글창제와 한글의 오늘
이현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 기조 강연 2
한글 운동의 역사적 의의
이준식 (독립기념관 관장)
1분과
-
한글창제와 조선의 민본정치
사회 - 문현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선임연구원)
훈민정음 창제와 집현전 학자들에 대하여
- 발표 - 이상혁 (한성대학교 상상력 교양교육원 부교수)
- 토론 - 안대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훈민정음의 교육과 확산 : 훈민정음은 어떻게 가르치고 확산되었을까
- 발표 - 백두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토론 - 정우영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명예교수)
한글의 지방보급과 백성의 참여
- 발표 - 최경봉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토론 - 박병철 (서원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2분과
-
한글, 한국어 사랑과 조선의 독립
사회 - 왕현종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어문민족주의의 발양
- 발표 - 박걸순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 토론 - 김용달 (문화재청 근대문화재분과 전문위원)
주시경의 어문 운동 전략
- 발표 - 김병문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조교수)
- 토론 - 유민호 (세종학교육원 객원연구원)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
- 발표 - 이지원 (대림대학교 인문사회계 교수)
- 토론 - 윤덕영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3분과
-
한글의 세계화와 한국어 교육
사회 - 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글자모(子母) 교육의 표준화 방안
- 발표 - 김지형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 토론 - 박기선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부 교수)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를 통한 한글과 한국어 보급
- 발표 - 강승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토론 - 이은경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한글에 대한 국외의 관점들에 관한 소고
- 발표 - 임재호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 토론 - 전정미 (상명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과 교수)
4분과
-
한글을 활용한 한류와 여주문화
사회 - 안동희 (여주문화원 사무국장)
대중문화로 만난 한국, 한글로 소통하다
- 발표 - 김나영 (여주대학교 한국어학원 강사)
- 토론 - 서종훈 (전 민예총 여주지부장)
훈민정음 제자원리로 살펴보는 한글의 표의성과 예술성
- 발표 - 강병인 (한글 글씨연구가)
- 토론 - 정복동 (서예가)
한글로 이어지는 문명, 문자, 예술
- 발표 - 김유영 (세종한글사랑 회장)
- 토론 - 유돈석 (문화유산다사랑보존회 이사)
한글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 발표 - 봉순이 (세종한글문화포럼 이사장)
- 토론 - 정민세 (해밀공방 대표)
5분과
-
여주문화발전방안 "고르게 행복, 다함께 평화"
- 발표 - 장주식 (여강길 상임대표)
- 토론 - 박영민 (여주대학교 치위생과 교수), 1~4분과 사회자(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