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연 안내 더보기 +
-
예측할 수 없는 시대의 언어 규범
수레쉬 카나가라자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교 영어 및 응용 언어학과교수
-
언어자원 담론의 구성: 맥도날드화, 디즈니화 사회를 넘어
신동일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
한 발짝 떨어져서 보는 한국 : 한글, 그리고 한국의 문화
Seeing Korea from one step outside : Hangeul and Korean Culture
토크콘서트
-
이주 시대의 언어 정의
더글러스 A. 키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 샴페인 프랑스어 언어학 교수
-
외국에 뿌리를 둔 아이들의 언어 보장과 '쉬운 일본어'
이오리 이사오
히토쓰바시대학 글로벌교육교류센터 교수
-
초국가적 한인가족의 언어정책과 실천
이학윤
조지아 주립대학교 교수
-
찌아찌아족의 한글 도입의 사회 문화적 영향
이호영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
야민정음의 서브컬처적 기원과 가치판단의 문제
오영진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의융합교육원 교수, 가상현실공연 연출자
-
한국어 시험의 사회 정치적 역할과 과제
박수현
상지대학교 국제어학원 한국어 강사
-
콩글리시는 바로 잡아야 하는가?
신견식
작가 및 번역가
-
YouTube에서 나타나는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특성
신은혜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교수